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84

나폴레옹전쟁 (9부) - 중기병, 경기병, 창기병 당시 전장의 주역은 전열병이었지만 아무래도 관심은 기병에 몰릴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관련 그림을 봐도 압도적으로 기병이 많고 훨씬 역동적입니다. 기병은 3개 병과 중 가장 비용이 많이 들고 강력했고 원정에 없어서는 안될 전력이었다. 반도전쟁을 제외한 나머지 거의 모든 전장에서 총 전력 중 10~20%를 차지했다. 반도전쟁에서는 이보다 많이 낮았다. 기병은 소대, 중대, 기병대Troop, 대대, 연대(3~4개 대대Squadron, 보병은 Battalion)로 편성했고 전투에는 연대단위로 투입했다. 그렇지만 기병대대는 보병보다 상당히 독립적이었고 다양한 임무를 맡았기 때문에 기병연대는 보병연대와 상당히 달랐다. 2~3개 연대으로 여단, 보통 2개 여단으로 사단, 2~3개 사단으로 기병군단을 편성했다. .. 2022. 5. 1.
그대가 조국, 다큐멘터리영화 펀딩 요즘 뉴스도 안보고 눈감고 귀닫고 살고 있습니다. 그래도 이런 소식에는 입을 열어야겠죠. 마음은 3억인 금액을 후원했습니다. https://www.tumblbug.com/ckp2022?_branch_match_id=1048842063939696459&utm_source=tumblbug&utm_campaign=project_detail&utm_medium=share&_branch_referrer=H4sIAAAAAAAAA8soKSkottLXz8nMy9YrKc1NykkqTddLzs%2FVD%2FcMT%2FPySPN2LkgCAOs%2B8K4lAAAA 다큐멘터리 영화 다큐멘터리 영화 의 많은 관객 참여 확대를 위한 펀딩입니다 www.tumblbug.com 2022. 4. 30.
나폴레옹전쟁 (8부) - 백병전 이번 이야기는 무척 짧습니다. 역시나 우리의 오해와 달리, 당시 전투에서는 백병전이 거의 벌어지지 않았다는군요. 다음에는 기병을 정리할 예정입니다. 모든 보병은 소총총구 주변에 35cm 길이의 총검을 장착했다. 장전과 사격하는데 불편했지만 180cm짜리 창으로 사용해서 기병의 돌격을 막았다. 백병전에도 사용했는데 실제로는 총검부상의 증거가 많지 않아서 논란의 여지가 많다. 1705년 소총은 총구자체를 막는 결정적인 결함이 있었고 나머지도 그다지 안정적이지 못한 장착방식이었습니다. 라레Larrey의사는 백병전 부상을 조사했는데 119명이 총상인 반면에 총검은 5명과 그쳤고, 1762년 입원부상자 조사에서는 생존가능 부상병 중 2.4%만이 총검부상이었다. 총검은 살상보다는 적에게 공포를 주어 달아나게 만들고.. 2022. 4. 25.
나폴레옹전쟁 (7부) - 전열병 일제사격 당시 보병전술이 우리의 오해와 달리 유연하면서도 복잡했다는 것을 설명했고, 이번 이야기에서는 우리가 무척 답답하게 생각하던 전열병 일제사격에 대해 설명합니다. 전쟁에 전쟁이 이어지던 시대라 다 그만한 이유가 있었죠. 우리가 그랬듯이, 100년 후의 후손들은 우리를 미개하게 생각하는 실수를 반복할겁니다. 사격술 강선총을 무장한 병사는 거의 없었고, 절대다수가 전장식 수발총을 사용했다. 영국군의 소총은 구경이 약간 더 커서 프랑스군의 탄약을 사용하기도 했다. 당시의 소총은 성능보다는 생산성이 우선이었고 어느 소총이나 거의 비슷했다. 소총의 품질보다는 병사의 기량이 더 우선이었다. 정교한 조준보다는 최대한 빨리 장전하고 적을 향해 적당히 조준한 후에 일제사격하는 훈련을 받았다. 부대가 한꺼번에 방아쇠를 당겨야.. 2022.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