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2차대전

중일전쟁 당시의 일본군 편성 (1부)

by uesgi2003 2017. 10. 19.


다른 이야기와 달리 신바람이 나서 정리할 내용은 아닙니다. 왠만하면 외면하고 싶지만 그래도 우리와 밀접한 역사의 한 곁가지라 잡상식 삼아 정리해봅니다. 


중일전쟁 당시의 일본군 편성 (1부)


일본군은 1905년에 러시아를 상대로 승전하며 얻은 시대착오적 교훈이 그 후 40년 동안 일본군의 교리와 조직에 뿌리를 깊게 내렸다. 초반에 모든 것을 집중시켜 훨씬 거대한 적의 사기를 떨어트리고 신속하게 승전했지만 그 당시 러시아 사회와 정부는곯을 대로 곯아서 지구전을 버틸 수 없는 상태였다. 그런데도 사무라이 정신 때문에 승전했다는 의견이 상당했다.

일본군 지휘부는 크게 두 주류로 나누였다. 전통파는 일본인은 전사기질이 있어서 총검을 앞세운 근접전 교리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혁파는 1차대전 유럽전선과 현대전술의 교훈을 흡수하려고 했다. 맹목적인 보병돌격은 대학살로 이어지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전쟁초반에는 맹목적인 돌격전술이 효과적이었지만 연합군의 화력이 압도한 후반에는 무의미한 인명피해만 만들었습니다. 

 

전통파는 초기에 모든 전력을 쏟아 신속하게 적을 제압해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큰 피해에도 불구하고 계속 전투를 벌일 수 있는 대형사단편제(여단중심)를 선호했다. 개혁파는 향후의 전투는 장기소모전이기 때문에 장기전에 버틸 수 있는 일본의 산업화를 주장했다. 그리고 화력중심으로 기동력이 좋은 소형사단편제(연대중심)를 선호했다.  

양쪽은 서로를 혐오했고 어느 한쪽도 대세를 잡지는 못했다. 1930년대 중반까지는 중용보수주의가 대세였다. 보수주의가 1930년대 중반까지 대세를 잡으면서 정부와 군대는 상당한 안정을 되찾았다.

19362, 1사단의 젊은 장교단이 전통주의가치를 주장하며 도쿄에서 쿠데타를 일으켰다. 4일 후에 쿠데타가 실패하면서 개혁파가 득세했다.




전통파 젊은장교들이 1936년 2월 26일에 쿠데타를 일으켰지만, 정작 자신들이 추앙한 천황이 쿠데타를 지지하지 않았고 육군내에서도 호응이 거의 없었습니다.

해군병력이 위 사진처럼 급히 도쿄로 모여들었고, 20,000명에 포위된 쿠데타군 1,500명은 아래 사진처럼 복귀했습니다. 


 

1920년대 초반까지 일본제국군Imperial Japanese Army(IJA)18개 지역에서 징병한 현역과 예비역, 그리고 전국에서 모병한 도쿄주둔 황실근위대Imperial Guards로 구성되었다. 1915년에 조선에 1920번째 지역군을 추가했다. 1924년에는 국내경제문제로 13, 15, 1718지역사단 4개를 통째로 해산시켰다.

각 지역은 20세 이상의 지역남성을 2년 복무기간으로 징병한 1개 사단과 소부대 몇 개를 보유했다. 만기제대하면 이후 15년 동안 제1 예비역에 편성되었다. 해당 지역부대에 징집되지 못하거나 장애가 있는 경우, 180일 이내의 기초군사훈련을 받고 17년 동안 징집예비역으로 분류되었다.

특정지역에 주둔하는 사단은 해당지역사단과 같이 전시기준 2/3의 병력을 유지했다. 유사시에 쉽게 완편할 수 있도록 사병은 낮은 비율로, 장교와 부사관은 높은 비율로 유지했다. 그리고 대부분의 지역은 중간규모의 포병연대, 기병여단, 대공포연대, 해안방어(중포)연대도 유지했다. 

어떤 사단을 외부로 이동시켜야 할 경우, 추가징집과 예비역소집으로 완편하고 이동시켰다. 보충사단을 남겨 이후의 징집과 훈련을 계속 지원했다. 이 방식은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는 반면에 해당지역에 큰 혼란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다소의 여유가 있다면 징집과 소집으로 완전히 새로운 야전사단을 만들어 이동시키고 기존사단은 보충사단역할을 하게 했다.

 

전통파가 일본의 전통적인 무사정신을 강조했다고 해도 화력을 무시하지 않았다. 실제로는 보병화기와 경포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었다. 보병은 1922년3가지 소화기를 지급받았다. 소총분대는 경기관총을, 대대는 70mm 박격포와 37mm 야포로 화력을 크게 보강했다. 다이쇼 11식 경기관총은 신뢰성 문제가 있었지만 당시 다른 국가의 군대와 비교해도 화력과 무장은 빈약하지 않았다.

1920년대 당시의 일본군은 서양식 편제와 무장을 따랐지만 근접전을 더 강조했다. 보병의 접근을 지원하기 위해, 소형수류탄과 50mm 특수탄을 발사하는 89식 척탄통(사진 참조)을 1929년에 보급했다. 3년 후에는 92식 대대포를 도입해 기존의 37mm 평사포와 70mm 박격포를 모두 교체했다.



무릎박격포로 잘못 알려져서, 89식 척탄통을 노획한 미군의 무릎을 많이 부러트렸습니다. 


포병은 1920년대 말에 대대적인 현대화작업을 추진했고 슈나이더Schneider사의 기술을 대거 도입했다. 경포에 우선순위를 두었고 1930년에 9075mm 야포를, 1931년에 91105mm 곡사포(사진 참조)를 도입했다. 1932년에는 105mm, 1936년에는 150mm 곡사포를 도입했다.

75mm는 슈나이더포를 개량했기 때문에 바로 국내생산을 할 수 있었지만 105mm 곡사포는 프랑스포를 복제한 것이어서 초기물량을 수입하다가 나중에 국내생산으로 돌렸다. 105mm150mm 곡사포의 생산속도는 매우 느렸다.


육군증원은 원칙이 없었다. 1907년부터 각 사단이 2년씩 여순항Port Arthur 수비사단으로 순환주둔하며 계속 증원되다가 1919년에는 아예 관동군으로 확대되었다. 일본이 만주를 공식적으로 합병하지 않고 관통철도만 운용했기 때문에 수비사단은 다소 한가한 군생활을 보냈다.

1915년에 중국에게서 강제로 얻어낸 철도를 보호하기 위해 6개 독립대대를 만들었다가 10년 후에 4개로 줄였고 다시 1929년에 6개로 증원했다. 철도수비대는 기동력과 화력을 이용해 여러 중국군벌을 지원하거나 요격했다.

관동군은 점차 중국내정에 깊게 간여했지만 본토에는 그 사실을 제대로 보고하지 않았다. 수비대대를 동원해 우호적인 군벌을 지원하고 적대적인 군벌을 암살했다. 1931년이 되자 군벌이 연합하면서 관동군은 심한 압박을 받았다. 그 동안 반목하던 군벌이 장개석 휘하에 들어가면서 중국이 통일되기 시작했다. 군벌은 부패하고 무력했지만 장개석과 통일중국군은 완전히 달랐다.

일본이 만주를 계속 장악하려면 조속한 대처가 필요했다. 주저하는 본토의 정부와 달리, 관동군은 여유가 없었다.

 

관동군의 병력은 매우 부족했다. 19314월에 제2 사단으로 바뀌었는데 실제 병력은 여단수준이었다. 도쿄정부는 아직 전시가 아니기 때문에 평시전력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했고 나머지 1/3은 제2 보충사단으로 남겨두었다.

평균 장교 40명과 사병 8324개 보병연대, 기병연대 117, 야포연대 542(75mm 4개 포대), 1개 공병중대, 통신분대 정도로 2사단 총병력은 4,350명에 불과했다. 그 밖에 독립수비대 4,000, 여순항 중포연대 279명과 150mm 곡사포 8, 헌병 500명과 몇 량의 무장열차가 있었다.

 

지역군벌 장쉐량은 보병여단 33개와 기병여단 10 250,000명의 정규군과 80,000명의 비정규군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1931, 관동군은 만주철도를 일부러 탈선시키고 만주를 침략하기 시작했다. 장쉐량은 만주를 포기하고 내륙으로 후퇴했다.

도쿄는 어쩔 수 없이 만주에 개입하게 되었는데 새로운 방식으로 병력을 증강했다. 국내외 시선 때문에 본토사단을 완편해서 보낼 수는 없었고 2사단을 증편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대신에 일부 지역을 지정해 해외파병을 위한 혼성여단을 편성하게 했다. 지명받은 사단은 완편된 2개 보병연대, 포대와 지원부대를 해외파병부대로 내놓았다.



장쉐량은 친일성향이었던 아버지가 관동군에게 암살당하자 반일투쟁으로 바뀌었습니다. 1936년 시안에서 장제스를 체포하고 제2국공합작을 성사시켰습니다. 그 후 국민당에게 체포되어 1991년까지 가택연금되었고 미국으로 출국해 천수를 누리다가 104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12월 초, 2개 혼성여단, 1개 전차부대와 포병부대가 만주로 건너갔고 20사단 전체와 조선의 19사단의 1개 혼성여단이 그 뒤를 따랐다. 일본은 만주에 쏠린 시선을 돌리기 위해 19321월에 상하이에서 폭동을 조장하고는 자국민과 재산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3개 사단과 1개 혼성여단을 급파했다.

19324월 만주에 10사단 전체가, 5월에는 14사단이 증파되더니 193310월에는 만주에 괴뢰정부를 세우고 중국에서 분리시켜 일본치하에 두었다. 1932년에 편성된 만주국군은 1935년에는 보병 26개 여단과 기병 8개 여단으로 늘어났다.



청의 마지막 황제 푸이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입니다. 만주국 대동왕으로 다시 전쟁포로와 정원사로 전락합니다. 기회가 되면 꼭 보시기 바랍니다.

 

1930년대 중반이 되자 관동군은 남북 양방향으로 노골적인 야심을 드러냈다. 남쪽으로는 만주국과 중국 사이의 완충지대를 노렸고 북쪽으로는 소련군을 가상적국으로 생각했다. 소련군은 국경지대에 1931 6개 보병사단에서 1935년에는 14개 사단으로 늘렸고 기병사단 3개와 기계화여단 2개도 추가했다.

그렇지만 관동군은 아직 도쿄의 최고사령부 휘하에 있었고 1933~36년 기간 겨우 3개 사단만 유지했다. 도쿄정부는 중국주둔군을 직접 관할하고 관동군의 영역을 줄이기 위해 병력을 10개 보병사단으로 늘리고 최고사령부의 지시를 받게 했다.

 

소련이 북부국경에 병력을 늘리고 있는데도 일본은 남쪽 중국에만 관심을 가졌다. 19374, 일본정부는 중국에게 허베이, 산시, 산둥, 차하얼, 쑤이위안성을 요구해 두번째 괴뢰정부를 만들려고 했다,

중국은 당연히 이 요구를 거부했고 193777, 일본은 북경외곽 루거우차우Marco Polo다리사건을 일으키고 중국수도를 대대적으로 협공했다. 톈진에 주둔하던 중국수비군은 북서방면으로, 다른 병력은 만주에서 남진했다. 중국수비군은 20사단 외에 관동군의 3개 여단을 투입했다. 북경은 바로 함락되었다.

이번에는 새로운 형태의 혼성여단이 투입되었다. 지역의 보병과 포병연대에서 1개 대대를 차출했고 거기에 약간의 보병을 더해 5개 보병대대, 1개 포병대대, 통신/운송/공병 각 1개 중대로 혼성여단을 구성했다. 빠르게 구성하고 지역사단이 받는 영향이 매우 적어서 전쟁말까지 이 방식을 고수했다.



일본군은 일본병사 한 명의 실종을 이유로 다리 건너편의 중국군 진영수색을 주장했고 이를 빌미로 본격적인 중국침공을 시작했습니다. 

 

소련의 위협이 날로 늘어가고 중국과의 전투도 격화되어 더 이상 평시수준을 유지할 수 없었다. 각 지역 사단은 예비역소환과 신병징병으로 두 번째 사단을 만들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 중 4개 사단은 1922년에 감축된 지역사단(13, 15, 17, 18사단)을 대신했다. 나머지 사단은 해당지역에 100(4지역의 104사단)을 붙였다.

7, 예비역만으로 특수사단(13, 18, 101, 108, 109사단, 비정규군사단) 편성명령이 내려졌다. 초기의 혼성여단을 확대편성해서 26사단을 만들었다.

 

중일전쟁은 날이 갈수록 격화되었다. 일본은 상하이가 위험해지자 3 11사단을 먼저 상륙시킨 후에 9, 13, 16 101사단을 추가로 투입했다. 상하이 서쪽방면 진출은 독일식 무장과 훈련을 받은 장제스의 정예사단에게 큰 피해를 입고 막혔다가 11월에 10군을 우회시켜 돌파했다. 12 1일에는 새수도 난징으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1937년 말에는 16개사단 총 600,000명이 중국전선에 투입되었다.




상하이전투에서는 잡병수준의 군벌과 달리, 독일이 무장훈련시킨 장제스의 정예군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일본군은 상륙 후에 무모한 돌격전술을 펼치다가 전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었습니다.

상하이와 난징에서 큰 피해를 입자 군인과 민간인을 가리지 않는 삼광작전으로 대학살을 저질렀습니다. 



1938년 초반, 중국주둔 일본군은 중국북부지역군North China Area Army와 중국중앙원정군Central Expeditionary Army가 있었다. 확대되는 전선을 메우기 위해 그리고 소련군의 증강에 대비하려면 병력을 늘려야했다.

1938 4 4, 15 17 특수사단이 편성되었고 5월에 106 116, 6월에 104 110 특수사단이 다시 편성되었다. 그리고 징병으로 21, 22 27사단을 편성했다. 이미 편성되었던 26사단과 함께 신규사단으로 불러 예비역 중심의 비정규사단인 특수사단과 구분했다



난징대학살 자료 중 가장 순화된 그림입니다. 실제로는 눈뜨고 볼 수 없는 만행이 있었고 일본정부답게 아직도 그 사실을 부인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