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2차대전

사상최대의 전차전 - 쿠르스크와 프로호로프카 (10부)

by uesgi2003 2013. 7. 6.


이야기를 급하게 정리하다보면 오타, 비문 등이 난무를 하게 됩니다. 적어도 3번은 읽어보고 올려야 하는데, 다음 에디터에서 작업한 그대로 올리다보니 '나중에 다시 손봐야지'하면서도 그냥 넘어가게 됩니다. 

짜증이 나시겠지만, 그래도 동부전선 이야기를 이 정도로 정리한 자료는 없다면서 애써 눈감아주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포니리(Ponyri) 부근의 치열한 전투이야기입니다. 


사상최대의 전차전 - 쿠르스크와 프로호로프카 (10부)


옆의 그림을 클릭해서 먼저 포니리가 어디에 있는 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그림은 이미 쿠르스크에 대한 모든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오늘은 아직 포니리 전투 정도입니다. 


쿠르스크 돌출부의 북쪽 어깨부분을 공격하던 중앙집단군의 목적은 분명했다. 그들은 포니리 근처에 있는 중앙전선군의 2차 방어선을 뚫고 서쪽으로 약 10km 떨어진 올호바트카까지 진격하는 것이었다. 포니리는 북쪽에서 쿠르스크와 연결되는 모든 도로와 철로를 통제하는 요충지였다. 


... 이곳을 지킨다면, 아군은 적의 측면을 노릴 수가 있다. 적도 이곳의 중요성을 알고 있기 때문에 7월 7일에 어떤 수를 써서라도 이곳을 점령하고 남쪽으로 향하는 길을 열려고 했다...


1일차에 독일 제292 보병사단이 포니리 북쪽 외곽에 교두보를 놓는데 성공했다. 그렇지만 7월 6일에 병력을 더 투입하고도 러시아군의 거친 저항에 밀려 거의 전진하지 못하고 있었다. 러시아군 지휘관은 타이거의 88mm와 장거리 교전을 벌여봤자 소용없다는 것을 알고 전차의 포탑만 나올 정도로 전차호에 넣고 보병과 경전차만 상대하기로 했다. 


해가 떠오르자 어김없이 독일군이 밀려왔다. 제18 전차사단의 전차의 지원을 받은 제292 보병사단은 러시아 제307 보병사단이 지키던 방어선으로 돌격해들어갔다. 돌격할 때마다 약간의 틈을 만들어냈지만 피해는 계속 늘어났다. 

치밀하게 얽힌 철조망과 지뢰밭을 뚫을 때마다 독일군의 시체와 파괴된 전차가 남겨졌고 하늘은 불타는 수십 대의 전차 연기로 덮였다. 머리 위에서는 슈투르모빅과 스투카가 서로의 먹이를 가차없이 사냥하고 있었고 전장의 혼란 속에서 피아가 뒤엉켜있었기 때문에 아군의 오인사살도 적지 않았다. 


마침내 오전 10시, 피곤으로 눈이 충혈되고 흙먼지 투성이인 독일군 보병이 50대의 전차지원을 받아 포니리 남쪽 외곽으로 침투하는데 성공했다. 그렇지만 성공은 오래가지 않았다. 잔해 속에서 유령처럼 나타난 제307 보병사단이 독일군을 밀어냈다. 한발자욱씩, 건물 한 채씩 밀려난 독일군은 전우의 시체와 전차잔해를 지나 출발점까지 밀려났다. 


정오에 호트는 반가운 소식을 들었다. 포니리 동쪽의 집단농장이 독일군의 수중에 떨어졌고 제9 전차사단이 러시아 제6 근위보병사단을 밀어내고 있다는 소식이었다. 

러시아군은 급하게 제1023 보병연대를 투입해 더 이상의 침투를 막고 제129 전차여단, 제13 대전차여단 그리고 제1442 자주포연대를 더 투입했다. 포니리를 둘러싼 줄다리기식 전투가 여름철 오후를 달궜다. 여름태양보다도 땅 위의 불타오르는 건물과 차량, 화기의 열기가 더 뜨거웠다. 마실 물도 없었기 때문에 달아오른 포신이나 총신은 오줌으로 식혀야했다. 

저녁이 가까워지면서 독일군은 포리니의 절반 정도를 점령한 것으로 판단했다. 

 

여군 간호병이 부상병을 옮기고 있습니다. 옆에는 독일군의 돌격포가 파괴되어 있는데 아마 연출 장면일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포니리로 그칠 전투가 아니었고 올호바트카의 점령이 더 중요했다. 올호바트카 고지에서 보면 남쪽 멀리 낮은 지대의 쿠르스크가 보인다. 쿠르스크까지 통제할 수 있는 이 요충지를 점령하기 위해 모델은 포리니에 더 이상 전력을 보강하지 않기로 했다. 사모두로프카와 올호바트카 사이의 러시아 방어선을 뚫기 위해 제2 전차사단과 제20 전차사단을 투입하기로 했다.

러시아 제13 군이 지키는 2차 방어선, 특히 이 지점은 전날 크게 보강된 상태였다. 다시 한 번 루프트바페와 포병이 러시아 방어선을 두들겨서 전차의 앞길을 열어주었다. 그렇더라도 방어선 침투는 일부분에 그쳤다.

 

... 적의 많은 전차가 방어선을 뚫고 테플레오를 점령했다. 그렇지만 근처의 제70과 175 사단이 제자리를 굳게 지켰고 예비병력을 사모두로프카 방향으로 투입해서 이미 침투한 적의 허리를 끊었다. 테플레오 지역의 독일전차는 사모두로프카 근처의 적과 연결하려고 계속 시도했지만 우리의 대전차포가 가만히 두지 않았다...

 

고립된 독일전차와 보병은 포위망을 뚫으려고 시도했다. 러시아 보병은 화염병, 수류탄과 지뢰로 맞섰다. 해가 지면서 전투가 소강상태가 되었다. 제9 군은 전진했지만 역시 막심한 피해를 입었다. 그런데도 모델은 제4 전차사단의 전차 101대를 숨겨두고 있었다. 이 전력은 남겨두었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사모두로프카 공격에 투입할 생각이었다.

 

로코소프키는 모델의 공격을 기다리지 않고 먼저 반격에 나섰다. 7월 8일 새벽에 제307 보병사단이 한 때 포니리역이었던 잔해 안에서 쏟아져나왔다. 제51과 103 전차여단의 140대가 동시에 집단농장을 공격해서 3시간의 전투 끝에 탈환했다. 러시아는 16대의 타이거와 24대의 중전차를 파괴했다고 주장했다. 보병들도 마치 신들린 사람처럼 덤벼들며 적을 조금씩 밀어냈다.

독일군과 러시아군은 건물 잔해 속에서 야전삽, 칼 그리고 손에 잡히는 아무 것이나 서로에게 휘둘렀다. 포니리를 빼앗긴 독일군은 바로 반격에 나섰지만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모델과 푸호프(제13 군 사령관) 모두 예비병력을 투입했다. 다음 48시간 동안 러시아 제3과 4 근위공수사단과 독일 제10 기갑척탄병사단과 31 보병사단이 혼전 속에 새로 가담했다.

7월 9일, 독일 제508 척탄병연대가 6대의 페르디난트 중전차의 지원을 받아 고지 253.3 공격에 나섰다. 페르디난트의 중장갑은 러시아군 방어진지를 밀고 들어갔고 보병이 그 틈을 타 고지를 점령했다. 그렇지만 추가병력이 부족해서 더이상 전과를 확대하지 못했다.

모델은 7월 11일 오전에 아껴두었던 제10 기갑척탄병사단을 동원해 폐허가 된 포니리를 공격하게 했다. 포리니는 거의 독일군의 수중에 다시 떨어졌고 러시아 17근위군단이 독일군의 새로운 공격을 막아내야 했다. 60~100대씩 이루어진 독일군 전차가 보병과 함께 올호바트카 북부, 사모두로프카와 고지 257을 공격했다. 

 

버려진 페르디난트 중전차를 러시아군이 보고 있습니다. 왼쪽의 러시아군은 소수만 사용한 헬맷을 착용하고 있습니다.

 

...  제20 기갑사단의 척탄병이 뜨거운 태양아래에서 사모두로프카 부근에서 필사적인 전투를 벌였다. 1시간도 안되어서 제112 기갑척탄병 연대의 제5 중대의 장교가 전부 죽거나 다쳤다. 척탄병이 옥수수밭을 건너 참호를 점령했다. 대대병력이 말 그대로 녹아서 사라졌다...

... 대대는 벌서 100명을 잃었다. 사단장은 러시아군이 전열을 정비할 시간을 주려고 하지 않았다. 제3과 35 기갑연대가 테플레오 외곽에 정열했다. 병력수송 장갑차가 합류했다. 급강하폭격기가 러시아군 위치에 폭탄을 투하했다...

... 반대편 경사면에는 제3 대전차포여단이 있었다. 그리고 T-34들이 전차호에 들어가 있었다. 그 옆을 대전차총을 가진 러시아 보병대대가 지키고 있었다. 단순하지만 단거리에서는 강당히 효과적인 무기다.

몇 백 미터도 가지 못하고 아군이 땅에 엎드려 꼼짝도 못했다. 그 좁은 통로로 수백 명이 쏘아대는 총탄을 뚫고 전진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전차가 있어야 했다.

러시아 포병이 300m까지 우리를 끌어들였다. 그 거리에서는 타이거도 대전차포를 맞고 불타올랐다. 그렇지만 3대의 4호 전차가 첫 번째 포대를 돌파했고 보병이 그 뒤를 따랐다. 고지를 점령했지만 적의 반격에 곧바로 밀려내려왔다...

 

... 3일 동안 테플레오 앞의 들판에서는 전투가 벌어졌다. 제33 기갑척탄병 연대가 들판을 점령했지만 다시 후퇴했다...

 

러시아군 입장에서는, 고지 257은 17근위보병군단의 방어선에서 핵심이었다.

 

 

판터 전차가 파괴되었는데 포탑 옆을 뚫려서 유폭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적은 목표를 바꿔서 포리니에서 사모두로프카로 이어지는 우리 방어선을 돌파하려고 시도했다. 독일군은 4번 공격해왔고 그 때마다 모든 화기를 동원했다.

고지 257.0에서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60~100대의 전차가 3번에 걸쳐 북동쪽과 북쪽에서 동시에 공격해왔다. 독일군 보병은 탄막을 뚫고 전차 뒤에 숨어 고지로 다가오려고 했다. 17:00시에 적은 고지를 점렴했지만 더 이상 전진하지 못했다. 17군단의 나머지 방어지역은 적의 공격을 완벽하게 막아냈다.

7월 8일, 치열한 전투끝에 독일군은 성공하지 못했다. 올호바트카로 들어오려던 마지막 시도는 완벽하게 막혔다...

 

방어선을 돌파해 올호바트카를 점령하지 못한 모델은 7월 9일에 총공격를 하느라 귀중한 시간을 흘려보내야했다. 다시 한 번 독일군은 전날의 전투에서 남겨진 시체와 그을린 전차를 지나 전진했다.

제2, 4와 20 전차사단의 전차와 돌격포 300대가 러시아군의 방어선을 돌파하려고 최후의 시도를 했다. 병사들은 땅 위에 엎드려 수 천 발의 독일포탄이 고지 274의 낮은 경사면에 떨어지는 것을 지켜보았다. 그리고 스투카의 고폭탄도 러시아군의 머리 위에 떨어졌다.

러시아군 진지에 떨어진 엄청난 포화를 보면 보병은 그냥 걸어가도 될 것처럼 보였다. 마지막 포탄이 터지고 스투카가 물러가자, 잠시동안 정적이 찾아왔지만 전차의 쇠를 가는 굉음이 울려퍼졌다. 다시 독일군이 공격해 들어갔다.

 

 

 

3호 전차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러시아군입니다. 머리에 착용한 헬멧을 보니 전차병들이군요.

 

몇 분도 안되어서 독일 보병은 아버지 세대가 1차대전 베르덩에서 겪었던 경험을 다시 겪었다. 곳곳에서 지뢰를 밟은 병사들이 쓰러졌지만 그래도 계속 전진해들어갔다. 오후내내 제6 보병사단이 참호, 철조망과 보병의 미로인 러시아군 방어진지에 달려들었다.

모델이 전력을 보강하는 동안 러시아군도 가만히 있지 않고 예비병력을 보강했었다. 성채작전의 양쪽 가위날 중 북쪽 날은 러시아군을 둘로 쪼갤 정도로 날카롭지 않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주코프와 스탈린은 7월 12일에 되자 브리안스크와 서부전선군이 오렐 돌출부로 진격해도 되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러시아군의 보고에 따르면, "7월 11일, 적이 전체전선에 걸쳐 공격했고 얼마 남지 않은 전차사단을 브리안스크 전선군의 공격에 대비해 후퇴시켰다."

 

독일군 제9 군은 러시아군 방어선을 돌파하는데 완전히 실패했다. 이제 모든 희망은 만슈타인과 남부집단군에게 달려있었다.